실제로 본적은 없는데, 주변 사람들로부터 여러번 이야기를 듣다 보니 이미 본 것 같은 느낌을 받는 책이 있을 것이다. 나에게는 ‘하이 아웃풋 매니지먼트’가 그런 책이었다.
인텔이라는 거대한 제국을 건설한 최고 경영자가 자기가 실전에서 배운 것들을 간결하게 풀어낸 이 책은 출판 직후부터 많은 경영자들의 찬사를 받았고, 나는 그들의 입을 통해 여러 번 이 책에 실린 내용을 접했기에, 결말을 알아버린 반전 영화에 흥미가 떨어지는 것처럼 책에 손에 가지 않았다. 그런 내가 이 책을 제대로 읽어볼 마음이 든 것은 두가지 이유 때문이다.
- 작년에 정말 흥미롭게 읽었던 ‘하드씽’의 저자 ‘벤 호로위츠’가 자신의 책에서 ‘경영의 교과서’라 극찬
- 회사 인원수가 늘어 더 이상 내가 모든 구성원들을 관리할 수 없는 상황 도래
남의 입이 아니라 나의 눈으로 ‘하이 아웃풋 매니지먼트’를 읽은 소감은 ‘사람들이 그렇게 칭찬하는 책은 다 이유가 있다’로 정리할 수 있겠다. 나와 비슷한 이유로 아직 이 책을 읽지 않은 분이 계시다면 꼭 직접 읽어보시길 권한다. 이 짧은 서평에 다 담을 수 없는 경영의 지혜가 흘러 넘치는 책이다.
관리자의 결과물은 그가 관리하는 조직의 결과물이다.
이 책을 관통하는 앤디 그로브의 생각이다. 우리는 흔히 어떤 관리자를 평가할 때 그가 관리하는 조직의 결과물이 아니라 그 사람의 개인 역량을 평가하는 실수를 저지른다. 하지만 관리자의 업무는 ‘관리를 통한 조직 단위의 성과 창출’이므로 그 관리자의 성과는 그가 관리하는 조직의 성과로 측정되어야 한다. 또 회사는 그 관점에서 관리자를 양성하고 임명하고, 조정해야 한다.
계획의 결과물보다 계획 과정이 더 중요하다.
앤디 그로브는 연간 계획을 아주 공들여 세우지만, 계획 과정의 진정한 결과물은 과정을 진행하면서 내리는 결정과 실질적인 행동이기 때문에, 그 계획이 완성된 후 그 결과 책자는 거의 들춰보지 않는다고 말한다.
인텔보다 훨씬 규모가 작은 우리 같은 조직의 경우, 사업 계획은 훨씬 짧은 주기로 바뀌기 마련이지만, 사업계획서는 항상 있어야 한다. 그 결과물보다 그 과정에서 얻게 되는 것들이 훨씬 많다는 것을 나 역시 경험에서 배웠다.
관리자의 결과물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실천법 – ‘조직 교육’
관리자의 결과물은 그가 관리하는 조직하는 조직의 결과물이라 일관되게 이야기하는 앤디 그로브는 그 결과물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방법으로 ‘조직 교육’을 제시한다.
이 생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저자가 제시하는 ‘레버리지’의 개념을 이해해야 한다.
관리자의 결과물 = 조직의 결과물 = L1 x A1 + L2 x A2 + …
(L : 레버리지, A : 관리자가 수행하는 활동)
관리 활동의 수나 들어가는 절대적인 시간을 현격하게 줄이는 것은 아주 어렵기 때문에 우리는 레버리지를 높이는데 집중해야 하는데, 레버리지를 높이는 활동으로 저자는 크게 세가지를 제시한다.
- 한 사람의 관리자가 많은 구성원에게 영향을 미칠 때
- 관리자의 간단명료한 말과 행동이 장기간에 걸쳐 구성원의 활동이나 행동에 영향을 미칠 때
- 독특하고 핵심적인 지식이나 정보를 제공하여 대규모 집단의 업무에 영향을 끼칠 때
교육은 3에 해당하는 활동으로 1, 2보다 훨씬 쉽게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교육’을 관리자의 부가적인 업무가 아니라 핵심 업무로 인지해야 한다.
관리자는 자신에게 익숙한 업무를 위임해야 한다.
위임의 딜레마 – ‘관리자에게 익숙한 업무와 익숙하지 않은 업무 중 무엇을 위임할 것인가?’에 대한 답을 저자는 명쾌하게 제시한다. ‘잘못되어 간다는 것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바로잡기도 쉽기 때문에 자기에게 익숙한 일을 위임해야 한다’고…
이 책은 내가 태어나기 전에 출판된 책이다. 하지만 혼자서 달성하기 어려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람들이 모여서 함께 일한다는 기업의 본질적인 목적이 바뀌지 않는 이상 그때나 지금이나, 그리고 앞으로도 이 책의 가치는 시간이 흐른다고 떨어지지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