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의 한 사람으로서 코로나19가 빨리 종식되기를 바라 마지않지만, 사업가로서는 냉정하게 그 가능성과 시기를 따져보지 않을 수 없다. 최근 2021년의 코로나 상황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이야기를 들어 나누고자 한다.
실리콘밸리에서 바이러스 검출 기술 관련 사업을 하고 있는 친구의 이야기
- 어떤 감염성 질환이 인류에 덜 위협적인 상황이 되려면 ‘진단 / 치료제 / 예방(백신)’ 세 가지 기술이 100점 만점에 90점 정도 완성도가 되어야 한다.
- 신종플루를 포함한 독감 계열은 세 기술 모두 90점 이상이 되었으므로 독감이 유행하는 계절이 되었고 환자가 늘고 있다고 해서 봉쇄조치를 시행하지 않는다.
- 코로나19의 경우 진단 기술은 80~90점, 치료제는 아직 출시되지 않았으므로 0점, 백신은 이제 막 접종을 시작했고 결과를 모르므로 60~70점 정도로 볼 수 있다. 인류가 유래 없이 빠른 속도로 대응했긴 하지만, 세 기술이 모두 2021년에 90점 이상이 되기는 어려울 것이다.
- 세 기술 모두 90점 이상이 된다고 해도 완전 종식은 어렵고 계절성 질환으로 남지 않을까?
건명원 동기로부터 전해 들은 저명한 교수님의 생각
- 코로나19 백신은 2021년 말이나 되어야 선진국 접종이 끝날 것이고, 개발도상국 접종은 완료는 빨라도 2022년 혹은 영원히 완료되지 않을 수도 있다.
-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이미 인류 유전자 풀에 들어왔다. 아마 매년 백신을 접종하고, 접종한 사람만 해외여행을 할 수 있는 시대가 되지 않을까?
사업가라면 코로나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등이 2021년에는 없을 것이라고 보는 것보다 2020년과 비슷한 상황이 계속 될 것이라고 보는 것이 좋지 않을까? 즉, ‘포스트(Post) 코로나’ 시대가 아니라 ‘위드(With) 코로나’ 시대의 1년 연장인 것이다.
그리고 2년이라는 시간은, 사회 구조가 바뀌기에 충분히 차고 넘치는 시간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