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정함에 대하여 — 장성홍 관장님의 가르침

짧지 않은 기간 동안 검도를 하면서, 사범님들께 몸이 아닌 말로 가르침을 받은 경우가 종종 있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장성홍 관장님께서 시합에 대해서 해주셨던 이야기가 가장 기억에 남는다.

“시합을 할 때는 최대한 냉정해야 합니다. 상대의 도발에 넘어가거나, 내가 승기를 잡았다고 흥분하지 마세요. 상대가 나보다 강할 때는 섣불리 덤비지 말고 차분히 시간을 써서 오히려 상대방을 초조하게 만드세요. 상대의 평정심을 흔들어 놓으면서도, 나는 끝까지 냉정한 것 – 그것이 바로 시합을 잘하는 요령입니다.”

별 다른 훈련 없이, 이 말을 늘 기억하는 것만으로도 경기 실력이 매우 상승했다.

생각해보면, 인생을 살아감에 있어서도 우리는 얼마나 많은 기회를, 흥분함으로 인해 놓치는가?

+ 건명원 최진석 원장님께서도 자주 비슷한 이야기를 하신다.

‘기성자’라는 사람이 있었다. 닭을 기르는데 특기가 있었던 모양이다. 특히 싸움닭 훈련을 잘 시켰는지 왕이 그에게 투계용 닭 한 마리를 기르게 했다. 열흘이 지나 왕이 물었다. “이제 잘 싸울 수 있게 되었겠지?” 기성자가 답을 한다. “아직 아닙니다. 훈련을 시켜 놓았더니 공연히 허세를 부리고 기세등등합니다.” 십일 후에 왕이 재차 물었다. 기성자는 또 아직도 덜 되었다고 답한다. 다른 닭의 울음소리를 듣거나 모습만 보고도 거칠어져서 바로 싸우려고 덤빈다는 것이 이유였다. 왕이 다시 열흘을 보내고 또 물었다. 그러자 기성자가 답한다. “거의 다 된 것 같습니다. 상대가 울음소리를 내도 태도에 변화가 없습니다. 멀리서 바라보면 흡사 그 모습이 나무로 만들어 놓은 닭 같습니다. 이제 덕이 제대로 갖추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다른 닭들이 감히 덤비지도 못하고 도망가 버립니다.” – [최진석의 노자와 장자가 답하다] 장자가 알려준 ‘지지 않는 법’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