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회고

사업의 확장에 따라 내 역량의 부족함도 많이 느꼈던 한해. 잘한 일 위주로 돌아보고 2022년 회고.

잘한 일 또는 잘한 결정

  • ‘집무실’을 기술 중심 성장 전략으로 꾸준히 밀고 간 것. 상반기에 있었던 불확실성에 굴복했다면, 하반기의 오피스OS 기반 확장은 불가능했음. (함께보기 – GS타워의 집무실 오피스OS 도입 이야기)
  • 성장하는 동료들을 믿고, 그들이 역량을 펼칠 수 있는 아메바 조직 구조로 전환한 것. (함께보기 – 아메바 경영)
  • 긴 손목 부상에 굴하지 않고, 재활에 성공하고, 도장에 복귀한 것.
  • 보습 제품 사용을 늘린 것.

아쉬운 일 또는 잘못한 결정

  • 조직 구조를 더 빨리 전환하지 않은 것.
  • 덜 중요한 일 때문에, 더 중요한 일에 집중하지 못한 것. 앞으로 소음은 더 늘어날 테니, 잘 관리하는 법을 배워야 함.
  • 바쁘다는 핑계로 읽고 쓰는 양이 줄어든 것.

올해의 글

올해의 사진

아마도, 올해의 사진. 왕십리의 가을. https://www.instagram.com/p/CjA6ihIvrpf/

올해의 책

올해의 음악

  • Citizens! – True Romance

올해의 영화, 드라마

  • 오베라는 남자

2021년 회고

작년에 이어 자랑스러운 한 해. 2022년도 주어진 기회의 소중함을 잊지 않고 나아가는 해가 되기를.

잘한 일 또는 잘한 결정

  • 로켓펀치와 집무실의 결합한 우리 사업의 고유성을 찾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결과도 만든 것
  • 정기적 기고를 통해 글을 많이 쓴 것 (서울프라퍼티인사이트 ‘데이터로 만드는 업무 환경’ 시리즈)
  • 심리상담을 받기 시작한 것

아쉬운 일 또는 잘못한 결정

  • 여전히 운전연수를 시작하지 못한 것
  • 2019, 2020년에 이어 부상 관리를 잘하지 못한 것
  • 바쁘다는 핑계, 코로나19로 인한 독서모임이 시들해졌다는 핑계로 독서량이 줄어든 것

올해의 글

올해의 사진

올해의 책

올해의 음악

  • 잔나비 – 주저하는 연인들을 위해

올해의 영화, 드라마

2020년 회고

오랜만에 아쉬움보다 자부심이 큰 한해. 앞으로도 이런 해들이 지속될 수 있기를.

잘한 일 또는 잘한 결정

  • 위기를 기회로 바꾼 것 — 코로나19가 세상을 바꿔놓을 것이라는 빨리 알아채고, 미래를 함께 만들 수 있는 좋은 파트너와 회사를 합병하고, 변화에 올라탔다. (서비스와 플랫폼, 그리고 집무실)
  • 독서 방식을 바꾼 것 — 책을 처음부터 끝까지 다 읽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서 벗어났다.
  • 다음 주요 업무 장비로 아이패드 프로를 선택한 것 — 나의 바뀐 역할에 맞는 좋은 장비를 선택한 것 같다.

아쉬운 일 또는 잘못한 결정

  • 독서, 글쓰기, 사진찍기를 충분히 못 한 것 — 더 읽고, 더 쓰고, 더 찍을 수 있는 환경은 무엇일까?
  • 2019년에 이어 부상이 잦았던 것 — 코로나로 인한 운동시설 폐쇄와 맞물려, 운동을 제대로 못 했다. 떨어진 신체 능력에 대해서 받아들이고 운동을 해야 할 것 같다.
  • 운전연수를 끝끝내 시작하지 못한 것

올해의 글

올해의 사진

외사촌 결혼식 후 양재 시민의 숲 나들이

올해의 책

  • 승려와 수수께끼

올해의 음악

레이디 가가 – I’ll Never Love Again (from A Star is Born)

올해의 영화, 드라마

A Star is Born (2018)

무작위 재생 중 레이디 가가의 목소리를 알아채고 찾게 된 영화. 이미 극장 개봉이 끝났다는 사실을 알고, 재개봉하면 꼭 보러 가야겠다고 생각하던 차에, 코로나 시국으로 인한 과거 명작 재개봉 덕에 극장에서 볼 수 있었던 영화.

2019년 회고

올해도 잘한 것들 위주로 돌아보는 한 해 회고.

잘한 일 또는 잘한 결정

  • 회사 본사를 만들고 이사를 한 것 — 회사는 효율성이 높아졌고, 나는 일에 더 집중할 수 있게 되었다.
  • 로켓펀치의 비대해진 기능을 과감히 정리한 것 — 적고보니 2018년 회고에도 프로젝트 정리에 대한 이야기가 있다. 비대해진 것을 나중에 정리하는 것보다, 그런 상황을 최소화 하는 것에 우선 순위를 둬야겠다는 생각이 강하게 든다.
  • 당근마켓 김재현 대표님을 만나 조직 실행 속도를 높이는 방법에 대한 조언을 들은 것 (조직의 실행 속도를 높일 수 있는 천억짜리 조언 – 당근마켓 김재현 대표님과의 대화) — 우리 팀의 실행 속도가 2020년에 매우 빨라진다면, 다 김재현 대표님의 덕이다.
  • 맞춤 안경을 맞춘 것 (@브리즘)
  • 실손 보험에 가입하고, 청약 통장을 만든 것 (드디어!)

아쉬운 일 또는 잘못한 결정

  • 로켓펀치 성장 방향을 제대로 잡지 못한 것 — 2020년에는 결과로 말할 수 있기를.
  • 책을 적게 읽고, 글을 많이 쓰지 못한 것 — 2020년에는 더 읽고, 더 써야한다.
  • 운동 중 부상으로 병원에 자주 다닌 것 — 2020년부터는 다치지 말자.

올해의 글

올해의 사진

 2019년 종교개혁주일 中

올해의 책

 ‘노동의 미래와 기본소득 (Raising the Floor)’

2019년 올해의 사진

2019년 올해의 사진 – 2019년 종교개혁주일 中
View this post on Instagram

🐶+🐶

A post shared by Minhee Cho (@ingray) on

//www.instagram.com/embed.js
//www.instagram.com/embed.js
View this post on Instagram

2010년대 마지막 벚꽃 시즌

A post shared by Minhee Cho (@ingray) on

//www.instagram.com/embed.js
View this post on Instagram

#seoul

A post shared by Minhee Cho (@ingray) on

//www.instagram.com/embed.js
View this post on Instagram

최진석 선생님

A post shared by Minhee Cho (@ingray) on

//www.instagram.com/embed.js
View this post on Instagram

점돌이 #멍멍

A post shared by Minhee Cho (@ingray) on

//www.instagram.com/embed.js
//www.instagram.com/embed.js
View this post on Instagram

2019.11.05 — #가을 #하늘

A post shared by Minhee Cho (@ingray) on

//www.instagram.com/embed.js
//www.instagram.com/embed.js

함께보기

2018년 회고

올해도 잘한 것들 위주로 돌아보는 한 해 회고.

잘한 일 또는 잘한 결정

  • 투자 유치 후 너무 다양해진 프로젝트를 상반기 중에 정리한 것 — 잘못한 일은 투자 유치 후 프로젝트를 너무 많이 벌린 것, 잘한 것은 그 프로젝트들을 너무 늦기 전에 정리한 것
  • 독서 모임을 시작한 것 — 올해뿐만이 아니라 스무 살 이후 내가 한 모든 결정 중에서 손꼽히는 잘한 일
  • 검도 말고 다른 운동을 시작한 것 — 손에 아무것도 없이 하는 운동 ‘주짓수’를 시작했고, 새로운 것들을 깨닫고 있다.
  • 나의 종교에 대해서 좀 더 깊이 알게 된 것 — 이제야 초보 기독교인을 벗어난 것 같은 느낌이다.
  • 2018년 무사 수행에 참여해 교토 무덕전에서 운동을 해본 것 — 긴 검도 인생의 목표 중 하나를 달성했다.
  • 잠자는 위치를 바꾼 것 — 독서 모임에서 큐피스트 안재원 대표님이 소개한 뇌과학 책 이야기를 듣고 햇빛을 받으며 일어날 수 있는 곳으로 침대를 옮겼다. 아침을 좀 더 생산적으로 보낼 수 있게 되었다.

아쉬운 일 또는 잘못한 결정

  • 투자 유치 후 프로젝트 범위를 너무 확장한 것 — 2019년에는 더 집중.
  • 글을 많이 쓰지 못한 것 — 2019년에는 글을 좀 더 많이 써야겠다.

올해의 글

올해의 사진

2018 올해의 사진 – 로켓펀치 팀 겨울 워크숍 모습

올해의 책

2018년 올해의 사진

2018 올해의 사진 – 로켓펀치 팀 겨울 워크숍 모습

사무실은 업무 환경이 아니다.

최근 읽고 있는 ‘어디서 살 것인가‘라는 책에는 사옥이나 사무실 구조가 조직 문화에 끼치는 영향이 나온다. 여러 층으로 분절된 건물보다는 층수가 적고 구성원들이 서로 많이 마주칠 수 있는 구조가 당연히도 창의적이고 수평적인 사고에 도움이 된다는 내용이다.

사무실이 없는 회사 구조를 만들어가는 입장에서 그런 내용을 읽으면, 구성원들이 함께하는 물리적 공간이 없어 혹시 나도 모르는 커뮤니케이션에 문제가 존재하는 건 아닐지 한번쯤 생각할 수 밖에다. 물론 사무 공간이 좋다고 해서, 커뮤니케이션이 잘될 것이라고 믿는 건 아니지만…

이 주제를 구성원들과 공유했는데, 좋은 이야기들이 오갔다.

  • (역시나) 사무 공간이 좋다고 해서 커뮤니케이션이 잘 되는 것은 아니다. 전에 있던 훨씬 좋은 사옥을 가진 회사보다 지금 커뮤니케이션이 잘 되는 것 같다. 내가 편하게 말을 꺼낼 수 있는 분위기이기 때문이다.
  • 어떤 이슈에 대해서 바로 이야기를 하는 것은 옆에 사람이 앉아 있을 때보다 다소 불편한 건 사실이다. 하지만 이런 건 이슈가 생겼을 때 메시지나 이메일이 아니라 화상 회의를 바로 시작하면 충분히 개선될 수 있는 것 같다.
  • 최근에 새로 만든 웃기는 이야기 마음대로 올릴 수 있는 슬랙 채널이 업무 외 커뮤니케이션 수준을 높이는데 도움이 많이 되는 것 같다.

우리가 만든 새 슬랙 채널에는 고양이와 강아지 동영상(…)부터 온갖 것들이 다 올라오는데, 원격 시스템을 사용하고 계시거나, 회사의 커뮤니케이션 수준을 높이고 싶은 팀이 있다면 한번 시범적으로 운영해 보는 것도 도움이 될 것 같다.

업무 환경에 물리적 사무실이 포함될 수도 있지만, 물리적 사무실이 업무 환경의 모든 것일 수는 없다.

오랜만에 모두 모인 2018년 상반기 워크숍

2017년 회고

돌이켜보면 늘 아쉬운 일들이 더 많기 때문에, 잘한 것들 위주로 돌아보는 2017년 회고.

잘한 일 또는 잘한 결정

  • 출판 —  내 첫 책이 출판되었다. (‘그로스 해킹 – 성장의 시대를 위한 안내서’ 출간에 부쳐)
  • 검도 4단 승단 — 수련 시작 15년 만에 4단 승단. 무슨 말이 더 필요한가? (검도와 사업 – 4단 승단에 부쳐)
  • 사업 성장 목표를 잘 관리하게 된 것 — 목표를 정량적으로 잘 관리하게 되면서, 사업 성장 속도가 현격하게 빨라졌다.
  • 일기를 더 자주 쓰게 된 것 — 2016년보다 약 두배 정도 일기를 더 많이 썼다.
  • 글을 꾸준히 쓰게 된 것 — 개인적으로 쓴 글이건, 회사 차원에서 쓴 글이건, 한달에 한편 이상 글을 남겼다.
  • 커피 외 수분 섭취를 늘린 것 — 9월부터 한달 넘게 목 건강 때문에 고생한 후, 커피를 좀 줄이고 다른 수분 섭취를 늘렸는데, 참 좋은 것 같다.
  • 나에게 맞는 식습관을 찾은 것 — 영양 구성이나 섭취 시간에 있어서 내 삶의 방식에 맞는 식습관을 찾을 것 같다. (도움 준 재섭 군에게 감사)
  • 회사에 영양제 구독 서비스를 도입한 것 — 실내 활동이 많은 팀원들의 건강을 관리하기 위해 영양제 구독 서비스를 도입했다.
  • 계획에 없었더라도, 좋은 인재는 우선 팀으로 모시는 것 — 2016년에 이어서 올해도 이런 결정은 계속 좋은 결과를 내고 있다.
  • 주간 회고 시간을 만든 것 — 매주 토요일 오전에 주간 회고 시간을 잡아둔 후, 생산성이 높아졌다. (참고 : How To Develop A Highly Effective Weekly Review Ritual)

아쉬운 일 또는 잘못한 결정

  • 부족했던 독서와 공부 — 당초 목표에 크게 미치지 못했다. 2018년에는 독서나 공부 시간은 아예 따로 잡아 둘 계획이다.

올해의 글

올해의 사진

2017 올해의 사진 – 미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