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제대로 쓰이지 못하는 돈을 가진 자는, 저 멀리 하늘에 있는 별이 내 것이라 주장하는 자와 다를 게 무엇인가?” – 건명원 오정택 이사장님의 이야기 中
//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제대로 쓰이지 못하는 돈을 가진 자는, 저 멀리 하늘에 있는 별이 내 것이라 주장하는 자와 다를 게 무엇인가?” – 건명원 오정택 이사장님의 이야기 中
언젠가부터 좋은 직업의 중요한 기준 중 하나로 ‘일과 삶의 균형(Work and Life Balance)’이 반드시 언급되고 있다. 이는 한국 사회의 과중한 업무 경향은 변하지 않으면서도, 경제 성장의 둔화로 일을 통해 기대되는 보상의 수준까지 정체되면서 발생한 자연스러운 현상일 것이다. 하지만 나는 우리 사회에서 일반적으로 이야기 되는 ‘일과 삶의 균형’이라는 관점에 동의하지 않는다. 한국 사회에서 ‘일과 삶의 균형’을 이야기 할 때, 그것은 보통 ‘일’과 ‘삶’을 철저히 분리하고, ‘일’을 ‘삶’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만 한정하기 때문이다. 정말 ‘일’은 돈을 벌기 위한 수단이기에 우리 삶에서 최소화 되거나 적어도 철저히 구분 되어야 하는 개념인가?
중세와 근대 과학이 발전하던 시기, 위대한 성과를 거둔 과학자들 중 상당수는 평생 ‘일’을 할 필요가 없는 귀족인 경우가 많았다.
“근대 과학혁명 초기에만 해도 소수의 대학교수들을 빼면, 많은 과학자들은 생활에 여유가 있는 부자나 귀족 출신이었다. 만유인력 상수를 측정한 캐번디시(Henry Cavendish; 1731-1810), 근대 화학의 아버지 라부와지에(Antoine Laurent de Lavoisier; 1743-1794),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남긴 페르마(Pierre de Fermat; 1601-1665) 등이 모두 여기에 포함된다. – 프로보다 위대했던 아마추어들”
만약 ‘일’을 생계 수단으로 한정한다면, 이 귀족 출신 과학자들이 평생을 걸쳐 이룩한 위대한 성과는 무엇이라 불러야 하는가? 평생 일할 필요가 없는 귀족들이 ‘자발적으로 일한 것’만 봐도 ‘일’이 인간에게 돈 이상의 목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쉽게 유추할 수 있다.
또 다른 상황을 생각해보자. 우리는 일반적으로 그림을 그리는 일, 음악을 만드는 일, 글을 쓰는 일 등을 업으로 하는 사람들을 예술가로 부른다. 어떤 예술가가 비 오는 날 차를 한잔 마시면서 바깥 풍경을 바라보며 상념에 잠겨 있다고 가정해 보자. 분명 이 순간의 감성들은 이 사람의 작품 세계에 어떤 형태로건 반영 될 것임에 틀림없다. 그럼 지금 이 예술가는 일을 하지 않는 상황 즉, 놀고 있는 상황인가 아니면 일을 하고 있는 상황인가? 예술가의 ‘일’을 캔버스에 직접 물감을 입히고 있는 상황, 오선지에 음표를 그리고 있는 상황, 종이에 글을 쓰고 있는 상황으로만 한정할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우리는 각자의 일에 어떤 수준으로 건 창의성을 발휘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이런 ‘일과 일 아닌 상태 구분의 모호함’은 거의 모든 사람들에게 존재할 수 밖에 없다.
인간에게 일은 단순히 돈 버는 수단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삶과 분리될 수 없는 것이다. 스스로 좋아하는, 자아실현이 가능한 일을 하고 있다면 ‘내가 하는 일이 내 삶이고 내가 사는 삶이 내 일’이 된다. 진짜 ‘일과 삶의 균형’은 이런 관점에서 탄생한다. 열심히 일한만큼 충분한 휴식을 취해야 하는 것은 우리의 삶이 단거리 달리기가 아니기 때문이며, 소중한 사람들과의 시간이나 여행 같은 다양한 삶의 경험을 누려야 하는 것은 그것이 우리가 추구하는 일의 수준을 한층 더 높여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로켓펀치가 완전한 원격근무로 일하면서도 성과를 낼 수 있는 것은 구성원들이 일과 삶을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다는 생각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로켓펀치는 사무실도 없고, 정기적인 오프라인 회의도 없고 그렇다고 언제부터 언제까지는 업무를 위해 온라인 상태여야 한다는 규칙도 없다. 이를 접한 많은 분들이 나에게 ‘구성원들이 일을 안하고 있는 건 아닌지 불안하지 않은가?’라고 물어보곤 한다. 하지는 나는 전혀 불안하지 않다. 본인 삶의 중요한 부분으로 일을 영위하는 사람들은, 그래서 일과 삶의 진짜 균형을 추구하는 사람들은, 위치나 시간으로 강제 받지 않아도 알아서 최선을 다하기 때문이다.
“좋아하는 일을 선택하라. 그러면 평생 하루도 일할 필요가 없다.”
– 로켓펀치 기업 문화를 정리한 문서 가장 첫 장에 있는 문장
우리가 만드는 로켓펀치가 각 개인이 자기 삶의 일부로 받아들일 수 있는 일을 찾아주는 것에, 그리고 새 시대의 일과 삶의 균형을 확립하는 데에 큰 역할을 하길 기대한다.
[아주 가끔 있는 로켓펀치 오프라인 회의 모습]
//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붙임 1. 이 글은 일과 삶의 진짜 균형에 대한 이야기다. 이 글이 아직까지 우리 사회에 남아있는 과한 업무와 박한 보상을 옹호하는 방향으로 읽히거나 사용되지 않기를 바란다.
붙임 2. 글을 쓰던 중에 나와 거의 비슷한 이야기를 하는 영문 에세이(Work/Life balance is bullshit.)를 찾았다.
이 글은 로켓펀치 블로그에도 함께 실린 글입니다. (‘새 시대의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하여)
//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어느 순간부터 나는 ‘자신의 이론으로 현실까지 바꾼 사람들’을 참 좋아했다. 예를 들면 이런 사람들.
어떤 위대한 업적이 순간의 운이 아니라, 일관된 생각을 통해 쌓아 올려진다는 것은 그 얼마나 아름답고 멋진 일인가?
집필을 시작한 후 어려운 순간도 있었지만, 결국 하나의 책을 마무리 할 수 있었던 가장 큰 동력은, ‘이론을 현실로 만든 자’가 되고픈 나의 욕망이었던 것 같다. 이제 나의 욕망을 완성하는 길은, 책에서 스스로 이야기 한 것들을 이 세상에 구체화 하는 것이다.
내가 나의 욕망에 부끄럽지 않은 미래를 만들어 가기를…
> 도서 링크 : https://goo.gl/wdojym
덧 1) 케인즈의 저작과 앨런 튜링의 논문 모두 1936년에 세상에 나왔다. 재미있는 사실이다.
덧 2) 왕필에 대한 이야기는 2016년 건명원 최진석 원장님의 도덕경 수업에서 자세히 배웠다.
Auditu auris audivi te: nunc autem oculus meus videt te.
Idcirco ipse me reprehendo, et ago pœnitentiam in favilla et cinere.
내가 주께 대하여 귀로 듣기만 하였삽더니 이제는 눈으로 주를 뵈옵나이다
그러므로 내가 스스로 한하고 티끌과 재 가운데서 회개하나이다 (욥기 42:5-6)
내가 당신에 대하여 제대로 알지 못하다가, 이제야 깨우치게 되었습니다.
내가 스스로 뉘우치고, 지금 이 순간과 과거의 모든 잘못들에 대하여 회개합니다.
“Non vīribus et celeritāte corporum magna gerimus,
sed sapientiā et sententiā et arte” – Cicero
우리는 위대한 일들을 육신의 힘이나 민첩함이 아니라,
지혜와 생각 그리고 숭고함으로 이룩한다.
짧지 않은 기간 동안 검도를 하면서, 사범님들께 몸이 아닌 말로 가르침을 받은 경우가 종종 있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장성홍 관장님께서 시합에 대해서 해주셨던 이야기가 가장 기억에 남는다.
“시합을 할 때는 최대한 냉정해야 합니다. 상대의 도발에 넘어가거나, 내가 승기를 잡았다고 흥분하지 마세요. 상대가 나보다 강할 때는 섣불리 덤비지 말고 차분히 시간을 써서 오히려 상대방을 초조하게 만드세요. 상대의 평정심을 흔들어 놓으면서도, 나는 끝까지 냉정한 것 – 그것이 바로 시합을 잘하는 요령입니다.”
별 다른 훈련 없이, 이 말을 늘 기억하는 것만으로도 경기 실력이 매우 상승했다.
생각해보면, 인생을 살아감에 있어서도 우리는 얼마나 많은 기회를, 흥분함으로 인해 놓치는가?
+ 건명원 최진석 원장님께서도 자주 비슷한 이야기를 하신다.
‘기성자’라는 사람이 있었다. 닭을 기르는데 특기가 있었던 모양이다. 특히 싸움닭 훈련을 잘 시켰는지 왕이 그에게 투계용 닭 한 마리를 기르게 했다. 열흘이 지나 왕이 물었다. “이제 잘 싸울 수 있게 되었겠지?” 기성자가 답을 한다. “아직 아닙니다. 훈련을 시켜 놓았더니 공연히 허세를 부리고 기세등등합니다.” 십일 후에 왕이 재차 물었다. 기성자는 또 아직도 덜 되었다고 답한다. 다른 닭의 울음소리를 듣거나 모습만 보고도 거칠어져서 바로 싸우려고 덤빈다는 것이 이유였다. 왕이 다시 열흘을 보내고 또 물었다. 그러자 기성자가 답한다. “거의 다 된 것 같습니다. 상대가 울음소리를 내도 태도에 변화가 없습니다. 멀리서 바라보면 흡사 그 모습이 나무로 만들어 놓은 닭 같습니다. 이제 덕이 제대로 갖추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다른 닭들이 감히 덤비지도 못하고 도망가 버립니다.” – [최진석의 노자와 장자가 답하다] 장자가 알려준 ‘지지 않는 법’
인물 사진은 거의 찍지 않았는데, iPhone 7 Plus 로 바꾼 후에는 ‘인물 모드’가 너무 마음에 들어서 가을부터는 인물 사진을 많이 찍게 되었다.
봄
//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여름
//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가을
//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겨울
//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platform.instagram.com/en_US/embeds.js
“이 때문에 최고지휘관의 양성에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지 않으며 최고지휘관은 학자일 필요가 없다.”
– 클라우제비츠 ‘전쟁론’, 제2편 전쟁이론 中
→ 정말 안타깝게도, 어떤 분야에서 타고난 재능 없이 큰 성공을 거두는 것은 불가능해 보인다. 그렇다면 역시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스스로가 마땅히 가야 할 길을 아는 것]이 아닐까?
성 소피아 성당(아야 소피아)은 콘스탄티누스 황제에 의해 기독교가 공인된 후 지어진, 로마 제국을 대표하는 대성당이었지만, 오스만 제국에게 점령당한 후 이슬람 사원이 되었습니다.
그렇게 하루아침에 건물이 바뀌었다고 해서, 그 지역에는 더 이상 ‘교회’가 없다고 할 수 있을까요? 건물이 바뀐다고 사람들의 믿음이 사라지진 않습니다.
교회의 본질은 ‘성도들의 모임(에클레시아)’에 있습니다. 눈에 보이는 모습에 신경 쓰지 말고, 본질에 충실한 진짜 교회, 진짜 예배를 만들어 갑시다.
– 봉천교회 정준 목사님 설교, 2014년 10월 19일